- 변수란
자바언어를 자동으로 변환해 주는 툴 다운로드 방법과 기본적인
변수를 선언하고 콘솔에 띄우는 구조식을 배웠습니다
위의 구조식은 int라는 변수의 이름을 age로 선언하고
float 이라는 변수의 이름을 weight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이렇게 이름을 선언한 변수안에 각각 49 , 70.44f 라는 수를 대입하고
System.out.println() 으로 콘솔에 프린트
사진과 같이 콘솔에 잘 보여지는걸 확인했습니다
- 정수_int

전 시간에 배운 변수를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과
콘솔에 프린트 하는 법을 예습했습니다
변수는 int를 사용하였고 a,b까지는 수를 대입
나머지 c,d,e,f,g에는 a,b를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식을 넣어 봤습니다
이후 System.out.println()이용하여 콘솔에 프린팅 해보았습니다
이렇게 변수 안에 이름을 선언한 변수를 넣어 계산할 수 있다는 걸 알아봤습니다
- 실수_double

double 이라는 변수를 알아보는 시간이였습니다
실 기능은 float와 유사합니다
하지만 용량이 더 크고 그로 인해 더 많은 소수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double이라는 변수를 만들고 이름을 알파벳으로 지정
이해하기 쉽게 알아봤습니다 a,b에 각각 10 ,3 이라는 수를 대입하고
c,d,e,f,g에 a,b를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식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System.out.println를 이용해 콘솔에 프린트 해보았습니다
double은 float와 실기능은 비슷하기 때문에 소수점까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렇게 정수뿐만 아니라 실수까지 알아야하는 경우 사용되는 변수 언어로 기억했습니다
- 문자_char
char는 문자를 대입할 수 있는 변수 언어입니다
위에 사진을 보면 실제로 char이라는 변수에 각각 a,b라는 이름을 지정
ㄱ , ㄴ 을 대입하고 이를 System.out.println()으로 콘솔에 프린트해보았습니다
ㄱ,ㄴ이 아주 잘 프린트되었는데요 하지만 a+b라는 수식을 프린트했을 때에는
유니코드로 프린트가 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으로 char라는 변수는 문자를 유니코드로 저장하고 a+b라고 했을 때
ㄱㄴ이 출력되는 게 아닌 저장한 유니코드를 합한 수를 프린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각 문자의 유니코드가 궁금하다면 int에 대입하여 출력하는 방법도 알아봤습니다
수업에서 ㄱ이나 ㄴ등 짧은 문자로 예를 든 이유는 char는 용량이 매우작은
변수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유니코드를 출력하는 방법과 수를 알아서 어디에 써먹는지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 문자열_String

String은 위에서 알아본 char와 기능이 유사합니다
다만 String은 char와 다르게 용량이 크기 때문에
간단한 문자가 아닌 문장 , 이름 까지 출력할 수 있는 걸 알았습니다
String을 입력할 때 S는 대문자로 입력해야 하고
이어 다른 시간에는 응용하는 법까지 알아봤습니다
- 자동 형변환 / 강제 형변환

용량이 작은 변수 언어가 용량이 큰 변수 언어로 형을 변환할 때
자동으로 변환이 이루어지는 걸 알았습니다
하지만 사진과 마찬가지로 double 보다 용량이 작은 int라는 변수는
형변환 시 int d = (int)c 앞에 변환하고 싶은 변수 언어를 ()안에 넣어 강제로
형변환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 경우 double c 안에 대입한 10.3이라는 실수가
정수만 표기하는 int로 형변환이 이루어져 10으로 변환됩니다
- 타입_블리언

boolean은 변수를 참과 거짓으로 표기하는 변수 언어입니다
int c와 int d에 각각 10 과 4를 대입하고
boolean이라는 변수를 e로 선언 안에 c > d 라는 수식을 대입했을 때
이 수식이 참이라면 true 거짓이라면 false로 출력합니다
확인을 위해 System.out.println(e)로 콘솔에 프린트해 보면
실제 c =10 , d = 4가 대입되어 있기 때문에 참이므로 true가 출력된 모습입니다
- 오전_응용 시간

응용문제입니다 홍길동의 성적표를 출력하는 문제였는데요
배웠던 변수 언어 char , String , int , double이 사용되었습니다
double avg1 = (kor1 + eng1 +mat1)/(float)3; 이라는 구조식에서
소수점까지 표현하기 위해 float을 3앞에 붙여 강제 형변환을 진행했습니다
이외에도 3뒤에 . 혹은 f를 붙이는 간단한 방법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System.out.println(ban1 + " : " + name1)를 본다면
변수 사이에 문자가 들어가는 경우 합이 아닌 나열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나의 수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일보 아카데미 4일차 up&down게임_만들기 / 숫자 랜덤 출력 (0) | 2023.02.24 |
---|---|
인천 일보 아카데미 3일차 배운 변수와 문법을 사용하여 만들어보기 (0) | 2023.02.23 |
인천일보 아카데미 2일차 조건문 switch / 반복문 for / 반복문 while (1) | 2023.02.22 |
인천일보 아카데미 1일차 (오후) 조건문 if 와 Scanner (1) | 2023.02.21 |
안녕하세요 (0) | 2023.02.05 |
- 변수란
자바언어를 자동으로 변환해 주는 툴 다운로드 방법과 기본적인
변수를 선언하고 콘솔에 띄우는 구조식을 배웠습니다
위의 구조식은 int라는 변수의 이름을 age로 선언하고
float 이라는 변수의 이름을 weight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이렇게 이름을 선언한 변수안에 각각 49 , 70.44f 라는 수를 대입하고
System.out.println() 으로 콘솔에 프린트
사진과 같이 콘솔에 잘 보여지는걸 확인했습니다
- 정수_int

전 시간에 배운 변수를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과
콘솔에 프린트 하는 법을 예습했습니다
변수는 int를 사용하였고 a,b까지는 수를 대입
나머지 c,d,e,f,g에는 a,b를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식을 넣어 봤습니다
이후 System.out.println()이용하여 콘솔에 프린팅 해보았습니다
이렇게 변수 안에 이름을 선언한 변수를 넣어 계산할 수 있다는 걸 알아봤습니다
- 실수_double

double 이라는 변수를 알아보는 시간이였습니다
실 기능은 float와 유사합니다
하지만 용량이 더 크고 그로 인해 더 많은 소수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double이라는 변수를 만들고 이름을 알파벳으로 지정
이해하기 쉽게 알아봤습니다 a,b에 각각 10 ,3 이라는 수를 대입하고
c,d,e,f,g에 a,b를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식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System.out.println를 이용해 콘솔에 프린트 해보았습니다
double은 float와 실기능은 비슷하기 때문에 소수점까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렇게 정수뿐만 아니라 실수까지 알아야하는 경우 사용되는 변수 언어로 기억했습니다
- 문자_char
char는 문자를 대입할 수 있는 변수 언어입니다
위에 사진을 보면 실제로 char이라는 변수에 각각 a,b라는 이름을 지정
ㄱ , ㄴ 을 대입하고 이를 System.out.println()으로 콘솔에 프린트해보았습니다
ㄱ,ㄴ이 아주 잘 프린트되었는데요 하지만 a+b라는 수식을 프린트했을 때에는
유니코드로 프린트가 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으로 char라는 변수는 문자를 유니코드로 저장하고 a+b라고 했을 때
ㄱㄴ이 출력되는 게 아닌 저장한 유니코드를 합한 수를 프린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각 문자의 유니코드가 궁금하다면 int에 대입하여 출력하는 방법도 알아봤습니다
수업에서 ㄱ이나 ㄴ등 짧은 문자로 예를 든 이유는 char는 용량이 매우작은
변수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유니코드를 출력하는 방법과 수를 알아서 어디에 써먹는지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 문자열_String

String은 위에서 알아본 char와 기능이 유사합니다
다만 String은 char와 다르게 용량이 크기 때문에
간단한 문자가 아닌 문장 , 이름 까지 출력할 수 있는 걸 알았습니다
String을 입력할 때 S는 대문자로 입력해야 하고
이어 다른 시간에는 응용하는 법까지 알아봤습니다
- 자동 형변환 / 강제 형변환

용량이 작은 변수 언어가 용량이 큰 변수 언어로 형을 변환할 때
자동으로 변환이 이루어지는 걸 알았습니다
하지만 사진과 마찬가지로 double 보다 용량이 작은 int라는 변수는
형변환 시 int d = (int)c 앞에 변환하고 싶은 변수 언어를 ()안에 넣어 강제로
형변환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 경우 double c 안에 대입한 10.3이라는 실수가
정수만 표기하는 int로 형변환이 이루어져 10으로 변환됩니다
- 타입_블리언

boolean은 변수를 참과 거짓으로 표기하는 변수 언어입니다
int c와 int d에 각각 10 과 4를 대입하고
boolean이라는 변수를 e로 선언 안에 c > d 라는 수식을 대입했을 때
이 수식이 참이라면 true 거짓이라면 false로 출력합니다
확인을 위해 System.out.println(e)로 콘솔에 프린트해 보면
실제 c =10 , d = 4가 대입되어 있기 때문에 참이므로 true가 출력된 모습입니다
- 오전_응용 시간

응용문제입니다 홍길동의 성적표를 출력하는 문제였는데요
배웠던 변수 언어 char , String , int , double이 사용되었습니다
double avg1 = (kor1 + eng1 +mat1)/(float)3; 이라는 구조식에서
소수점까지 표현하기 위해 float을 3앞에 붙여 강제 형변환을 진행했습니다
이외에도 3뒤에 . 혹은 f를 붙이는 간단한 방법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System.out.println(ban1 + " : " + name1)를 본다면
변수 사이에 문자가 들어가는 경우 합이 아닌 나열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나의 수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일보 아카데미 4일차 up&down게임_만들기 / 숫자 랜덤 출력 (0) | 2023.02.24 |
---|---|
인천 일보 아카데미 3일차 배운 변수와 문법을 사용하여 만들어보기 (0) | 2023.02.23 |
인천일보 아카데미 2일차 조건문 switch / 반복문 for / 반복문 while (1) | 2023.02.22 |
인천일보 아카데미 1일차 (오후) 조건문 if 와 Scanner (1) | 2023.02.21 |
안녕하세요 (0) | 2023.02.05 |